CONTACT

메디젠휴먼케어는 글로벌 시대의 맞춰 최고의
서비스와 국민건강을
위한 끊임없는 세계화로
도약하며 실현하고 있습니다.

  • 2018.01.10
  • 5566
DTC 시장 개화 1년 반, 기업 매출 바닥..규제 개선 한 목소리

 

민간 유전자 분석 시장 개화가 늦어진다. 관련 업체 연평균 매출액이 1억원을 밑돈다. 
 
의료계 반대에 부딪쳐 질병과 연관성이 낮은 영역에만 유전자 분석을 허용한 탓이다.

질병예측·예방 영역도 민간에 개방해 서비스 질 향상과 접근성을 유도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19일 한국바이오협회와 관련 기업에 따르면 작년 6월 30일부터 12개 검사항목에 대해 민간기업 유전자 분석 서비스가 시작됐다.

1년 반 동안 해당 기업이 거둔 매출은 평균 1억원도 채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작사 설립, 서비스 개발, 홍보 등 막대한 비용을 투자했지만 수요가 제한적이다.

기존 질병, 건강 관련 유전자 검사는 의료기관을 통해 수탁 전문기업에서만 가능했다.

정부는 작년 6월 유전자 검사 저변확대를 위해 혈당, 혈압, 피부노화, 체질량 지수 등 12개 검사항목 46개 유전자에 대해 민간기업 참여를 허용했다. 
 
정부가 고시한 유전자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은 마크로젠, 테라젠이텍스, 랩지노믹스, 디엔에이링크, 이원다이애그노믹스(EDGC), 메디젠휴먼케어, 에스엔피제네틱스, 엔젠바이오 등이다.  
 
한국바이오협회 관계자는 “국내 주요 유전체 분석 기업이 관련 사업에서 벌어들인 수익은 수천만원 수준”이라며 “막대한 투자를 했지만 수익을 내는데 어렵다”고 말했다. 
 
마크로젠은 민간 유전자 분석 시장이 열리면서 LG생활건강과 합작사 미젠스토리를 설립했다.

개인유전자 분석과 함께 LG생활건강이 보유한 화장품, 건강기능식품을 제안한다. 테라젠이텍스는 유전체 분석으로 피부, 미용, 탈모 등을 예측하는 '진스타일' 서비스를 출시했다. EDGC도 유전체 분석 기반 상품 매칭 플랫폼을 개발 중이다.

시장 개화에 맞춰 서비스, 인프라에 투자하지만 어려움을 겪는다.  
 
문제는 정부가 열어준 시장이 건강과 직접적 연관성이 적어 수요 발굴에 어려움을 겪는다.

암, 뇌혈관 질환 등 유전자 분석 수요가 큰 영역은 민간기업 참여가 배제된다.

의학적 신뢰성, 유효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의료계에서는 민간기업 질병영역 진입을 반대한다. 
 
의료계, 산업계 갈등이 심해지면서 정부가 중재에 나섰다.

11월 개인유전체분석(DTC) 전문가협의체를 구성했다.

2주에 한 번씩 의료, 산업, 연구, 법조계 전문가가 모여 현안을 논의한다. 의견차가 크다보니 합의점 도출이 어렵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2주에 한 번씩 협의체를 운영해 의료계, 산업계 의견을 듣고 있다”면서 “내년 2월까지 운영해 중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산업계는 의료계 우려를 감안해 진단, 치료 영역 진입은 하지 않겠다고 주장한다.

다만 유전자 분석 효과를 감안해 질병을 예측하고 예방하는 길을 열어달라고 강조한다.

기존 피부, 미용 등에 국한할 경우 발전된 유전자 분석 서비스 활용이 제한되며 산업계 육성도 어렵다. 
 
유전체 분석 기업 관계자는 “질병과 연관성이 적은 12개 검사항목만 열어 준 것은 소비자, 기업체 모두에게 마이너스 요인”이라며

“정밀의료 패러다임에서 유전자 분석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정부도 적극적으로 규제를 개선해 개인 맞춤형, 예방의학을 구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전자 분석은 타액이나 혈액 등으로 특정 질병 발병 가능성과 건강상태를 파악한다.

체계적인 건강관리 계획을 세우는 동시에 정부도 국가차원 의료비 절감을 구현한다. 
 
한국바이오협회 관계자는 “미국은 서비스에서 업체 단위로 허가를 간소화하면서 소비자 접근성, 기업 육성을 강화한다”면서

“국내에서는 여전히 규제로 가로막혔는데, 내년부터는 구체적인 규제 개선 방향을 정부에 제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